농촌기본소득제도는 말 그대로 농촌지역 주민에게 일정금액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우리나라 경기도 지자체에서 진행 중이고, 최근 들어 여러 지자체에서 관심을 가지고 시행하려고 하는 정책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dnvOxVW6Es
경기도 농촌기본소득 지원정책 안내
경기도 농촌기본소득이란 소멸위험이 있는 경기도 농촌지역 중 선정된 마을에 기본소득을 정기적으로 지급하고 효과를 실증하기 위한 시범사업입니다.
지역 소멸 우려가 있는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4차산업 혁명 이후 도래될 저밀도 경제 기반 사회의 대안을 확인하려는 데 그 의의가 있습니다. 신청 대상자는 신청하셔서 혜택보시길 바랍니다.
지원대상
○농촌기본소득
-경기도 농촌기본소득 시범사업은 경기도 내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된 곳에 주민등록지를 두고 거주하고 있는 경기도민에게 직업과 상관업시 모두 지급합니다.
-경기도내 농민기본소득 시행 지역으로 선정된 곳에 주소를 두고 실거주하는 주민,등록 외국인 포함(실거주 확인 및 심의)
중복혜택 불가
○경기도 청년기본 소득지원,농민기본소득 지원
지원내용
○농촌기본소득
-월 15만원,지역화폐로 지급
-경기도내 시험사업 지역으로 선정된 곳에 실거주하는 주민,외국인 포함(실거주 호가인 및 심의 후 대상자 선정)
제출서류
1.신분증
2.주민등록 초본(병역정보 포함)
3.전입 증빙자료(부동산 매매,전세,월세)
4.출입국에 관한 사실증명서
5.국민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6.외국인등록사실 증명서
7.국내거소사실 증명서
8.가곡관계증명서
문의처
경기도 농업정책과 << (☎031-8008-4463)
고령화 되어가는 농촌사회 속에서 노동인구 감소문제는 심각한 수준입니다. 따라서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라도 최소한의 소득보장 정책이 필요하며 이는 지속가능한 농업환경 조성과도 연결됩니다.
경기도 농촌기본소득 정책을 통해 소상공인에게도 도움이 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보다 심도있는 농촌을 위하는 대안마련의 정부정책이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농촌의 소득안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는 귀농귀촌인구 유입 확대로 농산어촌 활력 증진에 기여 할 것입니다.
미래세대에는 농업경쟁력 강화와 균형발전 촉직으로 보다 많은 농어민들을 지역 농촌에서 볼 수 있지 않을까하는 미래지향적인 생각을 가져봅니다.
'정책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복지형 연근해어선 기반구축사업 (0) | 2023.04.12 |
---|---|
식물 품종 보호 수수료의 면제 및 반환제도 (0) | 2023.04.11 |
신고마을 종묘생산 어업자금 지원지침 (0) | 2023.04.09 |
백두대간지역 주민지원 공모사업 접수 (0) | 2023.04.07 |
국매 물류센터 이용지원 산업 경쟁력강화 (0) | 2023.04.07 |